Works

디자인 메이드 design made

2018. 디자인 메이드 design made

온건축 표지

Role: Planning, editing, design, publishing
Client: on architects (주)온건축사사무소
Publication company: e’telier 에뜰리에
Purchasing: click here

(주)온건축사사무소 작품집

“나는 사람의 손으로 직접 만드는 영역을 의미 있게 기획하고 새롭게 계획하여 가치 있는 결과물을 창조한다는 의미에서 HANDMADE와 DESIGN의 합성어인 DESIGNMADE라는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 책은 저자가 울산의 시골 마을에 자리를 잡아 오늘에 이르기까지 10년간의 작업을 엮은 책이다. 한 작품, 한 작품 쌓아온 그간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공간을 구성하는 주요 건축 개념과 이를 뒷받침하는 그들만의 작업이 함께 정리되어 있다.

나무 OR 콘크리트? 
저자는 불을 사용하는 탄화노출콘크리트를 탐구해왔다. 2018년 특허출원한 온건축의 탄화노출콘크리트(특허출원번호 10-2018-0155974)는 지난 10여 년의 실험과 탐구로 실현되었다. 그가 콘크리트를 시공하는데 있어 불을 사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의 오감을 자극하는 공간을 만들기 위함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은 색과 촉감, 향과 소리로 우리의 감각을 자극한다. 그의 작품들을 바라보고 있으면, 콘크리트가 아닌 마치 아주 오랜 세월을 거친 자연의 고목과 같은 느낌이 난다. 콘크리트에서 우리나라 특유의 한국 정서가 묻어나는 것이다.

어떠한 작업과정을 거쳐 그 시공방법을 발전시켜 왔는지, 탄화노출콘크리트를 통해 우리가 그 공간에서 얻을 수 있는 감성들을 확인할 수 있다.

사람과 자연을 담은 건축 
더불어 저자는 경제 개발이라는 명목 하에 공간의 가치에 대해 생각할 겨를이 없던 우리 사회를 돌아보았다. 획일화된 건축 공간을 생산하는 사회로 인해 소통의 부재를 겪는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공간은 무엇인가? 이에 저자는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건축, 자연과 공존하는 건축에 대한 메시지를 전한다. 사람과 자연을 건축의 가장 기본 명제로 삼아 자신만의 건축개념을 정립한 내용을 살펴보면서 주인을 닮아 있는 집, 다양한 경험을 선사하는 자연을 담은 집은 어떤 모습인지 사진과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이라는 것은 디자인으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에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 우리의 삶을 둘러싼 요소들의 영향을 고려하고 균형을 맞춰 그 개념을 잡아가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단순히 건축가의 이야기만을 담은 것은 아니다. 현재 완공된 집에서 살고 있는 사용자들의 인터뷰를 통해서 그들이 어떻게 공간을 사용하고 생각하는지, 건축가와의 작업을 통해 느낀 점들을 공유한다.

Architecture & Culture Magazine

Monthly Architecture & Culture magazine since 2010

건문 407_000 (2015 04월)cover.indd

Role: Planning, editing, initial design concept
Client: archi-lab
Publication company: archi-lab
Purchasing: click here

1981년 4월 창간을 시작으로 한국 현대건축의 시대적 흐름과 변화를 함께 해온 월간 건축문화.

국내외 건축가들의 작품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소개하는 건축전문지로, 건축가 및 건축학도들에게 건축분야의 트렌드 및 중요 이슈를 전달한다.

현재 에뜰리에(E’telier)는 월간 건축문화의 건축가특집(Special) 코너를 맡아, 국내 건축가들의 작업을 집중조명 한다. 그들의 건축철학이 무엇이고 어떻게 건축물에 반영되는지, 자신들만의 건축언어를 만들어 오기까지의 과정, 현대 사회에 건축가가 던지는 메시지 등 보다 자세하게 건축가의 작업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다.


Monthly Architecture & Culture has been in line with the stream of the times and changes in modern Korean architecture since the first issue was published in April 1981.

This is an architectural magazine that introduces a variety of works and ideas from architects at home and abroad, and conveys the trends and major issues of the architectural field to architects and architecture majors.

Currently, E’telier takes responsibility for the special corner for architects of the Monthly Architecture & Culture and sheds light on the work of domestic architects. You can look at an architect’s work in more detail, learn about their architectural philosophy, how that philosophy is reflected in architecture,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ir own architectural language, the messages of those architects for modern society, etc.

 

이 슬라이드 쇼에는 JavaScript가 필요합니다.

Small House

Small House vol.1-2, 2018

small house cover

Role: Planning, editing, covering, initial design concept
Client: archi-lab
Publication company: archi-lab
Design: Atelier Farmer
Purchasing: click here

작지만 실용적인 소규모 주택을 소개하는 단행본.

아파트 전셋값으로 작더라도 나만의 주거를 갖고자, 작은 자투리땅을 찾아 소형 주거를 짓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 책은 42개 건축 팀의 53채 소형 주택을 통해 작은 면적이지만 넓은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건축 아이디어와 그 형태를 살펴볼 수 있게 만들어졌다. 각 프로젝트의 물리적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를 뽑았고,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건축요소를 선별하여 어떤 공간으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코너도 구성하였다. 소규모 주택에서 공간을 효율적이고 넓게 활용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A book that introduces small but practical houses.

More and more people are looking for some land to build their own small houses to own instead of making apartment deposits. This book was designed to provide various architectural ideas on how a small area can be used as a large space and show the forms created this way with 53 small houses built by 42 architect teams. The book selected major keywords by analyzing the physical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and has a corner that shows what spaces have been created by selecting the most commonly used architectural elements. You can see how to efficiently use a lot of space in small houses.

 

이 슬라이드 쇼에는 JavaScript가 필요합니다.

D-health magazine vol.1

D-health (Healthcare design magazine) vol.1, 2018

크기변환_디헬스표지

Role: Planning, covering, editing
Client: A-platform
Publication company: WEAREKAI LAB
Design: BLANC.B
Purchasing: click HERE 

“병원이란 문제가 해결되고, 희망이 자라나는 집과도 같은 공간이다.”

의료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종의 서비스업이다. 환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병원 환경 조성은 의료서비스 혁신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최근 의료서비스의 디자인 향상에 대한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병원 디자인을 통해 의료 공간과 환자 간의 거리감을 좁힐 수도 있고, 공간디자인을 통해 병원의 철학을 느낄 수도 있다.

본 매거진은 건축가, 디자이너가 어떠한 접근으로 의료 공간을 만드는지, 디자인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국내외 연구,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A hospital is a space like a house where problems are solved and hope grows.”

Medical treatment is a kind of service conducted for patients. Creating a hospital environment that provides patient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is critical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service innovation. There have recently been a variety of attempts to improve the design of health care services. Hospital design can fill the gap between the medical space and patients, and patients can feel the philosophy of hospitals through space design.

This magazine introduces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and application cases of how architects and designers approach the creation of medical spaces and how to develop medical service through design.

 

이 슬라이드 쇼에는 JavaScript가 필요합니다.

 

Incheon Contents Korea Lab 2016

Incheon Contects Korea Lab 2016, 2017

Mobile

Role: Editing, proofreading
Client: DNOMADE
Publication company: IBITP(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Design: DNOMADE

인천콘텐츠코리아랩은 지역 문화콘텐츠 창작자 양성 및 전문 크리에이터 육성을 위한 열린 강좌, 맞춤형 멘토링, 창작물 제작 등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인천콘텐츠코리아랩의 지난 2106년의 다채로운 활동 기록을 책으로 엮어냈다. 아이디어가 사업으로 이어지고, 지역기반 콘텐츠 창작 활성화를 위한 창작 프로그램 운영 및 창작자 양성, 제작 지원 행사 등의 과정과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다. (비매품)


Contents Korea Lab Incheon is an institution that provides open courses and customized mentoring to foster regional cultural content creators and professional creators and supports the manufacturing of creation. Records of various activities of Contents Korea Lab Incheon in 2016 were compiled as a book. You can see all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how ideas lead to business, how creation programs for the vitalization of local contents creation are operated, and how manufacturing support events are held. (Not for sale)

Public Hotel

Public Hotel 2017

public hotel cover

Role: Editing, covering, initial design concept
Publication company: A&C Publishing
Design: A&C publishing
Purchasing: click here

“오늘날의 숙박은 단순히 경제적인 옵션이 아니라 호텔이 제공하는 다양한 경험을 선택하는 것이다.”

Public 시리즈의 첫 번째 단행본으로, 전 세계 다양한 숙박시설의 콘셉트와 건축, 인테리어, 아트, 그래픽 등 다양한 디자인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된 책이다. 숙박시설의 개념과 역할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여행 트렌드가 변하고 있는 요즘, 특화된 설계와 서비스 디자인으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국내외 특별한 호텔들을 소개한다.


“Staying in the hostel these days is more than just about budget sleeping, but experiences what the place has to offer.”

As the first book of a public series, it was designed to explore concepts of various accommodations around the world and the forms of various designs such as architecture, interiors, art and graphics.  The book introduces special domestic and overseas hotels that provide novel experiences with specialized designs and service designs these days, a time when the concept and role of accommodations are gradually expanding and travel trends are changing.

 

이 슬라이드 쇼에는 JavaScript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