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s

2019 마을을 탐구하다

서울시 마을건축가 소통세미나 2019, 공간복지의 시작

Role: editorial, design
Client: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단

2019년 서울시는 지역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민과 함께 마을단위의 공간정책을 지원하는 ‘마을건축가 제도’ 운영을 시작하였다. 마을건축가는 지역에서 일어나는 건축/공간환경 관련 주요 현안 사항을 자문하고 재정/집수리/마을활동가 등의 지역활동을 총괄 기획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마을건축가 제도가 첫발을 내딛은 만큼 ‘공간복지의 시작’을 주제로한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에뜰리에는 그 세미나 내용들을 시민과 공유하기 위한 책자 제작을 맡아 각 강연에서 발표된 내용과 참고자료를 정리하여 책자 및 e-book으로 엮는 작업을 하였다.

e-book: http://ebook.seoul.go.kr/Viewer/V54Z8R1PCGSQ

2018 & 2019 서울을 꿈꾸다

서울시 공공건축가 아이디어 워크숍 2018 & 2019

Role: editorial, design
Client: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단

“도시는 한 소년이 그 거리를 걸으면서 장차 커서 자신이 무엇이 하고 싶은지 일깨워줄 수 있는 장소여야 한다. A city should be a place where a little boy walking through its streets can sense what he someday would like to do.”_ 루이스 칸Louis Kahn

대한민국의 중심 서울. 우리가 꿈꾸는 서울의 모습은 무엇일까? 시민의 의견에 귀기울여 더 나은 공공건축문화를 만들기 위해 서울시는 공공건축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 책은 서울시 공공건축가 아이디어 워크숍>을 2018년과 2019년에 걸쳐 진행하면서 총 80명의 공공건축가들이 32개의 팀을 이루어 만들어낸 도시에 대한 아이디어를 모아 놓은 책이다. 이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는 완전히 새로운 장소가 아닌 우리 주변 일상에서 마주하는 곳에 아이디어를 더하여 삶에 유용하고 가치있는 장소로 변모시켜 더 나은 도시를 만드는 계획안이다.

e-book: http://ebook.seoul.go.kr/Viewer/MP4N4VCCPUCI

Tracing; 투영과 추적

Tracing; 투영과 추적, 2019

tracing1tracing2tracing3tracing4

Role: editorial, planning, design directing
Client: (주)포럼디앤피(FORUM D&P)
Purchasing: click here

과정없는 결과는 없다. “만족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서 온다”는 명언처럼, 결국 어떤 일에 대한 가치를 매기는 일에는 과정이 중요하다. 건축도 마찬가지다. 사실 우리는 완공된 결과물을 내보이는데 익숙하지, 그 건물이 지어진 과정에 대해서 공유해본 경험이 매우 적다. 특히 그 건물 안에 담긴 건축가의 사유에 대해서, 보이지 않는 공간의 가치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이 책은 그간 우리가 공유하지 못했던 ‘건축의 과정’을 함께 살펴보고자 포럼디앤피가 건네는 제안이다. – 책 내용 중

이 책은 (주)포럼디앤피(FORUM D&P)가 약 1년 2개월 동안 R&D센터 및 공장을 리모델링한 과정을 추적하고 투영한 내용을 담고 있다. 건축가의 건축설계와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이와 더불어 통합적인 비전 제시의 과정과 방법 등을 상세히 담았다. 에뜰리에는 건축 자료들을 정리하고 책자의 내용구성 기획 및 편집을 맡았다.


근린생활시설 단행본 시리즈 Ⅰ, Ⅱ Neighbourhood Facility Ⅰ, Ⅱ

Neighbourhood Facility Ⅰ, Ⅱ

000 Cover_근생 싸바리.indd   근생 vol 2

Role: editorial, interview, information-gathering, design directing
Client: archi-lab
Purchasing: click here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건축물의 용도 중 하나인 근린생활시설 프로젝트를 모아 놓은 사례집. 국내 도심의 특성에 적용 가능한 소/중규모 건축물 프로젝트를 위주로 건축 전문가들이 참조할 수 있는 국내외 사례들을 모아놓았다. 건축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콘셉트 스케치에서부터 주요 부분 상세도면까지 한 프로젝트의 전 과정을 자세히 담았다. 또한, 그리드 레이아웃이 디자인의 포인트로 다양한 정보소스가 있는 만큼 보다 체계적이고 가독성 있는 구성을 의도하였다.

이 슬라이드 쇼에는 JavaScript가 필요합니다.

서울건축문화제 2018 도슨트투어 Seoul Architecture Festival 2018 Docent tour

서울건축문화제 2018 도슨트투어
Seoul Architecture Festival 2018 Docent tour

도슨트1

도슨트2

도슨트3

장소: 문화비축기지

‘한양산천, 서울강산’을 주제로 서울의 강과 산을 되짚어보는 서울건축문화제의 전체적인 전시 내용을 일반 시민에게 설명하는 도슨트 투어를 진행하였다. 왜 서울을 산천과 강산을 통해 들여다보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는지, 서울의 역사적 지리적 특성을 통해 서울의 근본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 해 서울시건축상을 수상한 대표작들의 숨겨진 건축적 흥미로운 사실들을 설명하면서 도심 속 건축물이 갖는 공공적 요소를 이해해야 하는 그 필요성에 대해서도 시민들에게 알리고자 하였다.

“긴장감 섞인 두 에디터들의 설명에 귀 기울여주신 관람객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18 작은미술관 성과집

2018 작은미술관 조성 및 운영사업 성과집, 예술과 함께하는 일상, 우리동네 작은 미술관

작은 미술관 표지(2)

Role: editorial, writing, interview
Client: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은 생각보다 우리 삶 가까이에 있으며 누구나 일상에서 접하고 즐길 수 있다.”

작은미술관 조성 및 운영사업은 미술관이 없거나 미술문화 확신이 꼭 필요한 지역의 공공유휴공간을 일상 속 미술 공간으로 재조성하는 프로젝트이다. 시행 첫해인 2015년 전국 곳곳 문을 연 6개의 작은 미술관을 시작으로, 2016년 3개, 2017년 2개, 그리고 2018년 3개의 미술관이 추가로 문을 열었다. 그간의 미술관의 활동과 전시, 그리고 운영자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2019 vol.9 usun brochure

2019 vol.9 usun brochure
2019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브로슈어

Role:Planning, directing, editorial
Client: usun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hoto: Ko eun

유선브로슈어_웹용

온-건축, 모두의 건축展

온-건축, 모두의 건축; 누구나 좋은 공간을 누릴 권리가 있다.

Exhibition_ On Architecture, Architecture for all; Everyone deserves to have a good space.

온-건축, 모두의 건축 전시 포스터

Role: Planning, directing, design
Client: on architects (주)온건축사사무소
Directing: e’telier 에뜰리에

온 – 건축, 모두의 건축은 ㈜온건축사사무소의 작품과 건축 개념을 통해 건축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그 가치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마련한 전시이다.

㈜온건축사사무소를 이끄는 건축가 정웅식은 이제까지 울산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던 건축전시의 출발선에 서면서, 울산 시민들이 보다 쉽게 건축을 이해하고 생각할 수 있는 전시를 만들고 싶었다. 이에 따라 대중들이 자신이 만든 건축물을 통해 건축이 사람, 자연, 사회와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지 이해하고, 건축이라는 창의적인 작업과정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전시를 기획하였다.

On Architecture, Architecture for all is an exhibition for people to understand architecture more easily through the works and architectural concepts of On Architects and to think about its value. The architect, Jung Woong-sik, who has led On Architects, planned this exhibition for the citizens of Ulsan to understand and think more easily about Architectures. To do this, E’telier planned the exhibition for people to understand how architecture related to people, nature, and societ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work process of architecture.

전시 흐름

  • 삶의 키워드, 12개의 모형 기둥과 함께한 건축가의 6가지 건축 키워드
  • Matrix_ 탄화노출콘크리트를 위한 건축가의 탐구
  • 쓰임으로 완성되는 건축, 건축주 사진전

Exhibition flow

  • Keywords of life, 6 architectural keywords of architect with 12 model pillars
  • Concrete Matrix
  • Architecture completed by use & Photography exhibition conducted by clients

이 슬라이드 쇼에는 JavaScript가 필요합니다.